티스토리 뷰
목차
노출 실험
Bicker와 다수의 학자들은 향기 물질과 관련된 안전 실험이 결코 간단하지 않다고 말한다. 어떠한 종류의 최종 상품이 피부에 노출이 되었는가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정해진다. 예를 들면, 씻어내야 하는 제품인지 바른 상태로 두어도 되는 제품인지의 차이다. 또한, 최종 구매자가 얼마나 자주 제품을 사용하는 지도 중요하다.
피부 관련 주의사항
피부 가려움증과 알러지 증상, 광독성 증상, 광선 알러지 증상 등이 피부 관련 논문에 소개되곤 한다. 이와 관련된 실험은 사람을 대상으로 미리 테스트되는 것이 필수다.
경피층 침투와 피부 물질 대사
에센셜 오일을 포함한 많은 향료물질들이 피부흡수를 통해 전신순환으로 흘러갈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닐에틸알콜과 큐머린(coumarin)의 경우 피부에 흡수되는 정도가 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몇몇의 향료 물질들은 피부 내에서 대사된다. 특히 다른 루트로 투여했을 때와 비교하면 이런 피부대사는 흡수된 화학 물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몇몇 향료 물질과 연결된 피부 알러지 반응이 피부에서 생활성 대사산물로의 변형과 관련이 있을지 모른다고 제안되었으며, 이 대사산물은 피부단백질과 부산물을 형성하여 알러지 유발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
독성 관련 고려 사항
향료 물질의 독성 평가는 급만성 독성, 돌연변이유발, 피부자극, 피부감작, 광자극, 광알러지, 발달과 생식독성, 발암에 관한 것을 포함한다.
대사와 독성역학적 고려
약물대사에 대한 지식을 통해 화학에 근거에 향료 혹은 에센셜 오일의 대사적 운명까지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향료에 존재하는 기능기와 가능한 대사적 옵션을 식별함으로서 알 수 있다. 에센셜오일을 이루는 주 성분인 에스테르, 알데하이트과 알코올에 대해 대사적 운명과 해독과정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다
환경적 결과
비누, 섬유유연제, 클렌저, 세제 등에 사용되는 향기물질 중 60%가량이 하수도로 방출된다. RIFM은 이에 관하여 두 가지 우려를 제시하였다. 첫번째는 물과 토양의 미생물에 대한 우려와 함께, 잠재적 생태 파괴에 대한 문제와 생물학적축적(bioconcentration) 및 생분해 작용(biodegradation)에 대한 영향이다. 또다른 우려로는 환경접촉을 통한 의도치 않은 향료물질에 대한 노출 가능성이다. 현대의 연구들은 향기 제품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며, 인간에게 노출 시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도 알아낼 수 있다.
Bicker와 학자들은 RIFM이 제시한 우려들을 더욱 상세히 묘사했다. 이는 우려가된 요소들을 자세히 파악하고 제한된 환경에서 어떠한 작용을 일으키는지 더 세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로마 에센셜 오일과 관련된 유해성 및 위험 (0) | 2023.01.01 |
---|---|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화학 성분 (0) | 2022.12.31 |
호주의 에센셜 오일 규제 이슈 (0) | 2022.12.27 |
아로마테라피와 보완대체의학 (CAM), 간호 (0) | 2022.12.26 |
아로마테라피란 무엇인가? 명확하게 정의하기 (0) | 2022.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