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전역 후 민방위로 넘어가기 전까지 예비군 훈련을 매년 받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예비군 훈련 시 필요로 하는 필수 준비물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예비군 훈련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해보고 싶다면 아래버튼에서 예비군 사이트로 안내해드릴게요!
예비군 이란?
- 국가를 방위하기 위하여 설치·조직·편성된 군
- 국가비상사태하에서 현역 군부대 편성이나 작전수요를 위한 동원에 대비
- 적이나 무장공비의 소멸과 무장 소요 진압
- 중요시설·병참선 등의 경비
- 「민방위기본법」에 따른 민방위 업무의 지원 임무를 수행하는 군
예비군 훈련자격
구분 | 계 | 동원예비군훈련 | 예비시간 | |||
동원훈련 | 동미참훈련 | |||||
신규 전역자(간부/병) | 160시간 | 160시간 | ||||
병 | 1~4 년차 | 동원지정자 | 2박3일 | 132시간 | ||
동원미지정자 | 4일(32시간) 또는 2박3일 | 128시간(132시간) | ||||
5~6 년차 | 동원미지정자 | 140시간 | ||||
7~8 년차 | 미이수 훈련 | 160시간 | ||||
간부 | 1~6 년차 | 동원지정자 | 2박3일 | 132시간 | ||
동원미지정자 | 2박3일 | 132시간 | ||||
7년차~연령정년 | 미이수 훈련 | 160시간 |
✅ 예비군 1년차 : 군대를 전역한 연도의 다음 연도
- 예비군 1 ~ 4년차 : 2박 3일 동원훈련 또는 동미참 훈련(간부 예비군 6년 차까지)
- 예비군 5 ~ 6년 차 : 지역예비군 훈련 (기본훈련 8시간, 작계훈련 12시간)
- 예비군 7 ~ 8년 차 : 예비군 훈련 없음
예비군 훈련 준비물
동원훈련 준비물
✅ 동원훈련 : 「병역법」에 의한 동원지정자를 대상으로 소집부대에서 2박 3일 실시하는 훈련
필수준비물
- 신분증
- 전투복
- 전투모 : 방탄모를 쓰고 다니기 때문에 전투모가 필요 없을 수도 있습니다
- 전투화
- 고무링
추천준비물
- 카드 : px이용 시 필요 ( PX 있는지 확인하고 가져갈 것 )
- 세면도구
- 수건
- 여분 양말, 속옷
- 비닐봉지
- 최근 2년간 헌혈증 : 연도별 1시간씩 조기퇴소 가능 (부대마다 상이)
- 휴대폰충전기
동미참훈련 준비물
✅ 동미참훈련
- 동원 훈련으로 지정되었으나 사정상 미참석 한 경우
- 동원 훈련으로 미지정되어 동미참 훈련 대상자로 고려되는 경우
- 당일 8시간 교육
필수준비물
- 신분증
- 전투복
- 전투모
- 전투화
- 고무링
추천준비물
- 카드 : px이용 시 필요 ( PX 있는지 확인하고 가져갈 것 )
반응형